검색결과 리스트
글
사회변혁을 거부하는 모든 논리는 언제나 ‘현실(reality)’ 그것을 반대의 근거로 삼는다. 이러한 논리의 함정은 “현재 ~하다(be)”라는 것을 근거로, “앞으로 ~해야 한다(have to be)”라는 논리적 비약을 유도한다는 것이다. 하지만 이러한 비약은 때때로 급진적인 사유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기도 한다. 다소 거칠게 묘사하자면, 자본주의 사회가 “계속될 수 없을 것이다(will not be)”는 근거를 토대로, “계속 되어서는 안 된다(will not have to be)”라는 급진적인 비약을 수행하기도 한다. 때문에 편향과 반-편향의 양면적인 수사를 뒤로하고 우리는 보다 기저에 숨은 그 무엇에 대해 말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.
사실 이른바 보수-자유주의자의 논리는 ‘현실’을 근거로 변화를 거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데,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미 어떤 ‘현실’이 전제되고 있다는 것이다. 고전파경제학에서 당연한 것처럼 전제되는 임금기금설(wage-fund theory)처럼, 자원은 언제나 한정된 것으로 나타난다. 하지만 진정 현실에서 그것들은 항상 한정되어 있는가. 보수-자유주의자의 논리에서 ‘현실’은 다분히 수사적이다. 그리고 이러한 수사에 우리가 답해야 하는 것이, 더 이상 지속될 수 없는 현실, 또는 더 이상 지속되어서는 안 되는 현실이듯이, 우리는 진정으로 현실이 어떠한 것인지를, 다시 말해서 ‘현실적인 것(the real)’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.
보수-자유주의자의 논리에서 정의된 현실(defined the reality)이 항등식(identical equation)으로 전제되는 이상, 사실상 어떤 가능한 변화도 유도(derivative) 될 수 없다. 전제는 이미 결론을 포함하고 있고, 이러한 이상 다른 답안은 있을 수 없다. 따라서 ‘현실적인 것’의 재구성은 변화를 위한 조건(condition)이다.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은, ‘<소외> 될 수밖에 없는 현실’인가, ‘소외 될 수 밖에 없는 <현실>’인가. 즉 우리가 마주해야 하는 것은, ‘소외’인가, ‘현실’인가, 물어야 한다. 존재론에의 새로운 정립이 인식론에의 새로운 해답을 이끌어내듯이, 우리가 세계가 무엇인지 재구성할 때에 세계는 비로소 재구성 된다. 이 자기실현적(self-fulfilling) 기획에 우리는 무엇을 답할 것인가.